기출풀이/121회
철골부재 변형교정 시 강재의 표면온도
한솔마을
2021. 3. 27. 18:03
반응형
개요
1. 철골 부재 용접 접합시 모재, 용접형상, 용접속도, 용접 방법등의 영향으로 부재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음
용접 변형의 종류
1. 면내변형 : 횡수축, 길이방향 수축, 회전변형
2. 면외변형 : 각 변형(횡 굴곡 / 종 굴곡), 좌굴변형, 비틀림
용접변형의 교정
1. 냉간가압법 : 실온에서 기계적인 힘을 가해 변형을 교정, 타격법 / 롤러법 / 피닝법
2. 국부가열냉각법 : 변형이 생긴 용접구조 부재를 국부적으로 가열했다가 즉시 냉각하여 굽힘변형을 교정
3. 가열가압법 : 변형이 생긴 부분을 가열하여 열간가공 온도로 압력을 가하면서 변형을 교정(연간 500~600도)
강재의 표면온도
1. 용접 변형은 프레스나 가스화염 가열법으로 교정할 수 있으며, 가스화염 가열법 교정을 실시하는 경우 강재의 표면온도 및 냉각법은 아래의 표와 같음
조질강 : 표면온도 750도 이하 → 공냉 또는 공냉 후 600도 이하에서 수냉
열가공제어강(Ceq>0.38) : 표면온도 900도 이하 → 공냉 또는 공냉 후 500도 이하에서 수냉
열가공 제어강(Ceq=<0.38) : 표면온도 900도 이하 → 가열 직후 수냉 또는 공냉
기타강재 : 표면온도 900도 이하 → 적열상태에서의 수냉은 피함
용접변형 방지 대책
1. 용접부의 단면이 대칭이 되도록 계획
2. 용착량이 과다하지 않도록 설계
3. 가능한 용접 패스수를 적게
4. 용접속도를 빠르게
5. 모재 예열 후 용접실시
6. Jig로 고정 후 용접 실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