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8월 23일, 선선한 아침 기운이 느껴지는 24절기 중 처서(處暑)입니다.

처서는 입추와 백로 나이에 들며, 태양 황경이 150도에 달한 시점으로 양력 8월 23일, 음력으로는 7월 14일 무렵입니다.

절기란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을 구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눈 계절의 표준입니다. 여기서 태양의 황도란 지구의 공전으로 나타나는 천구에서의 태양 겉보기 운동 경도를 말합니다.

 

 

즉, 지구가 태양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지구에서 볼 수 있는 태양이 하늘을 1년에 걸쳐 이동하는 경로를 황도라고 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황경은 태양이 춘분점과 이루는 각도입니다. 농사가 중요했던 옛날에는 24절기를 농사에 유용하게 사용했습니다. 

 

흔히 처서는 '땅에서는 귀뚜라미 등에 업혀오고, 하늘에서는 뭉게구름 타고 온다'라고 할 정도로 여름이 가고 가을이 드는 계절의 엄연한 순행을 드러내는 때 입니다.

 

 

처서는 무슨 뜻일까?

 

처서(處暑)

 

處 : 곳 처

1. 곳, 처소

2. 때, 시간

3. 지위, 신분

4. 부분

5. 멈추다

 

 

暑 : 더울 서

1. 덥다

2. 더위

3. 여름, 더운 계절

반응형

한자 뜻을 그대로 풀면 '더위가 멈추다', 혹은 '여름이 멈추다'가 됩니다.

 

더위가 식고 일교차가 커지는 8월의 중기인 처서는 서늘한 바람이 불고 이슬이 내립니다. 또한 귀뚜라미가 울고 매가 새를 많이 잡는 절기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처서는 '더위가 그친다'는 뜻으로 이 날을 기점으로 더위가 한 풀 꺾인다고 합니다.

무더운 여름 날씨가 선선해지길 간절한 바람은 오늘날 처서와 관련된 속담으로 전해집니다.

"모기도 처서가 지나면 입이 삐뚤어진다""처서가 지나면 풀도 울며 돌아간다"

선선해진 날씨로 극성이던 모기가 점차 줄어들고, 따가운 햇살이 기울며 풀은 더 이상 자라지 않는 절기가 바로 처서입니다. 그래서 풀이 더 이상 자라지 않는 이 처서를 골라 벌초를 하는 풍속이 생겼습니다.

"처서에 비가 오면 독 안의 든 쌀이 줄어든다"

 

 

또한 처서의 날씨로 한 해 농사를 점치기도 했습니다. 처서에 비가 오면 나락에 빗물이 들어가 곡식이 제대로 여물지 못하고 썩어 흉작이 들기 때문입니다.

 

여름이 가고 날씨가 아침저녁으로 선선해지면 여름동안 허해진 몸을 보양하기 위해 차가운 음식보다는 따뜻한 음식을 먹었습니다. 대표적으로 추어탕과 복숭아, 칼국수가 있습니다.

 

 

 

긴긴 여름을 이겨내고 이제는 가을을 만끽할 시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커지는 일교차에 감기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