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리터를 무게로 환산해야할 때가 있습니다. 적정하중을 계산해야할 때 가장 많이 사용텐데, 사람들이 자주 착각하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1리터(L)의 무게가 1kg일 것이라는 착각입니다.

1리터(L)는 몇 키로(Kg)일까?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우선 단위를 알아야합니다. 리터는 부피의 단위이고, 키로그램(kg)은 무게의 단위이기 때문입니다. 사실 kg은 엄밀하게 말하면 질량의 단위입니다. 따라서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우리는 부피의 단위인 리터와 무게(중량)의 단위인 kgf를 살펴봐야합니다.

 

 


1. 부피의 단위 리터(Liter)

1리터는 1000세제곱센티미터(cm³)를 가리킵니다. 이는 한 변의 길이가 10cm인 정육면체 큐브의 부피를 말합니다.

즉, 1L = 1000cm³ 이라는 말인데, 1000cc와도 같은 부피입니다.


2. 무게의 단위 킬로그램(kgf)

일상생활에서 kg은 무게의 단위이지만, 물리학에서는 질량을 나타냅니다. 우리 몸무게를 말할때 사용하는 kg또한 정확하게 사용하면 kgf로 써야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그냥 f를 생략하고 kg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편의상 kg과 g을 질량이 아닌 무게로 보고 설명하겠습니다.
kg의 최초 정의는 얼음이 녹는 온도에서 10cm³의 정육면체를 가득 채울 수 있는 부피의 절대적인 무게였습니다. 시간이 흘러서 상온인 4°C에서 1cm³의 정육면체를 가득채우는 부피의 무게로 개정되었습니다.


반응형

 


위와 같이 L와 Kg은 밀접한 관계로 정의되었습니다. 그러나 1964년, 정밀도를 위해 이 정의를 폐기했습니다. 이유는 물의 밀도가 압력에 따라 바뀌기 때문에 정밀도에서 문제가 생겼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 1L=1kg으로 단순 환산하셔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그런데 절대로 착각하면 안되는 것이, 물 1L가 1Kg인 것이지 부피 1L가 1Kg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즉, 1L의 통에 물을 담았을 때의 무게가 1Kg인 것은 맞지만 물이 아닌 다른 것을 1L 통에 담으면 무게는 1kg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이는 물질의 비중과 관련이 있습니다.

물질의 비중

비중은 1기압 4°C인 상태의 물을 기준으로 어떤 물질의 상대적인 밀도를 나타냅니다. 물의 비중은 1이라고 보는데, 이는 물이 기준값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떤 물체의 비중이 1보다 작으면 물에 뜨고, 1보다 크면 물에 가라앉습니다.

리터(L)를 무게(Kg)으로 환산하는 방법

그래서 어떤 물체 1L의 무게를 알고 싶으면 이 상대적인 값인 비중을 곱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휘발유 1L의 무게를 구하고자 한다면 휘발유의 비중인 0.74를 곱하여 구합니다.
휘발유 1L 무게 = 1L * 0.74(휘발유 비중) = 1kg * 0.74(휘발유 비중) = 0.74kg = 740g

 

 

리터(L)를 무게(Kg)으로 환산하고 싶다면 반드시 비중을 알아야합니다.

부피(L) * 비중 = 무게(K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