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1. 피복두께의 목적

 가) 철근 부식 방지

 나) 콘크리트의 내구성 확보

 다)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 확보

 라) 구조물의 내화성 확보

 마) 콘크리트의 유동성 확보 : 콘크리트의 굵은굴재 치수 이상의 피복두께를 확보하여야 밀실 타설 가능

 바) 구조체의 내구연한 확보

 

2. 피복두께 측정 기준

 가) 보통 콘크리트 표면에서 단면 내 가장 가까운 철근까지의 거리

 

3. 보 철근의 피복두께 기준

 가) 수중 콘크리트 보 : 100mm

 나)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 보

  1) D29이상 : 60mm

  2) D25 이하 : 50mm

  3) D16 이하 철근 및 철선 : 40mm

 다)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보 : 40mm

4. 피복두께 산정 시 주의사항

 가) 보의 피복두께는 콘크리트 표면에서 단면 내 가장 가까운 철근까지의 거리이므로, 스터럽의 직경을 더한 값이 순피복두께임

 

5. 보 철근의 이음

 가) 보 철근은 응력이 작은 곳에서 이음처리를 하는 것이 원칙임

 나) 보의 단부에서는 상부가 인장력을, 보의 중앙부분에서는 하부가 인장력을 부담

  1) 하부주근 : 보의 단부에서 이음처리

  2) 상부주근 : 부의 중앙에서 이음처리

 

 

반응형